해외아티클

자폐 아동을 위한 사회 상황 이야기

관리자 │ 2021-01-06

썸네일PPT.png

HIT

806

자폐 아동을 위한 사회 상황 이야기

BY 리사 조 루디 l 2020년 4월 30일


사회 상황 이야기는 아동의 일상에 도움을 있는 간단한 도구이다

 

자폐인은 모방을 통해 학습하지 않으며, 경험해보지 못한 상황에서 쉽게 압도감을 느낀다. 게다가 보통 일반화를 어려워한다. , 번의 경험으로 다른 비슷한 상황이 어떻게 전개될지 쉽게 이해하지 못한다. 이러한 현실을 종합해보면 많은 자폐 아동이 생일 파티나 학교에서 열리는 핼러윈 행사, 혹은 심지어 치과 진료 시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사회적 기대를 예상하지 못하는지 이해할 있다.

 

다행히도 대부분의 자폐 아동은 복잡하고 새로운 상황에 대비하는 법을 배울 있다. 항상 간단하고 쉽지는 않지만, 아래 단계는 거의 자명한 방법이다.

 

1. 어떤 일이 일어날지, 어떤 행동을 있을지를 예상해본다.

2. 생각한 바를 적어본다 (그림을 그려보면 더욱 좋다).

3. 2번의 내용을 명확하고 간단한 방식으로 정리해 아동에게 보여준다.

4. 아동이 편안하고 자신 있다고 느낄 정도로 여러 반복해 예행연습을 한다.

 

사회 상황 이야기 자폐를 가진 아이들, 그리고 일부 어른들이 사실상 모든 새롭고 복잡한 상황에 대비할 있는 최적의 방법이다. 사회 상황 이야기는 누구나 만들 있지만 제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충분한 계획과 생각, 그리고 통찰력이 필요하다.

 

사회 상황 이야기의 기원

사회 상황 이야기는 교사 상담가 캐럴 그레이(Carol Gray) 의해 만들어졌다. 1990년에 그레이는 자신이 가르치던 자폐 아동들이 학교에서 일어날 있는 다양한 상황에 대비할 있도록 사회생활 이야기라는 것을 고안해냈다. 그리고 수십 간의 노력 끝에 시스템과 접근법을 완성시킨 특허를 등록했다.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사회 상황 이야기를 만들지만, 용어에 대한 특허권은 그레이가 보유하고 있다.


1990 이후 상당수의 연구자가 사회 상황 이야기의 효능을 연구했다. 상반된 결과가 있긴 했으나 대부분은 방법이 유용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분명한 점은 사회 상황 이야기는 청자가 참여하고 흥미를 보이며 내용을 이해하고,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행동을 취할 있을 때만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사회 상황 이야기의 정의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회 상황 이야기는 사실적인 그림이 실린 단편 소설로서, 자폐 아동이나 청소년, 혹은 성인이 세상을 더욱더 이해할 있도록 돕고자 제작된다. 다음은 캐럴 그레이의 웹사이트에서 발췌한 설명이다.

 

사회 상황 이야기는 가지 결정 기준에 따라 맥락이나 기술, 성과, 혹은 개념을 정확히 묘사한다.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이야기의 연구, 개발, 적용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적절한 내용과 품질, 형식, 서술방식과 어투를 결정하고 자폐를 가진 아동과 청소년, 성인에게 의미 있고 신체적, 사회적, 그리고 감정적으로 안전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있다.

 

캐럴 그레이는 좋은 사회 상황 이야기를 위한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 정확한 정보를 의미 있고 서술적이고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공유할 있다.

- 청자(자폐인) 상황을 이해하고, 이야기에서 묘사하는 기술이나 개념, 혹은 상황에 대한 청자의 태도를 이해한다.

- 모든 사회 상황 이야기에는 제목과 도입부, 본문, 그리고 요약 결론이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 이야기를 작성할 때는 1인칭이나 3인칭을 사용하고 긍정적인 톤을 유지하며 문자 그대로 직설적이고 정확하게 서술한다.

-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했는지에 대한 답을 제공한다.

- 도움 문장과 더불어 서술 문장을 포함한다.

- 지시보다는 묘사에 집중한다.

- 이야기를 사용하기 전에 내용을 검토하고 다듬는다.

- 이야기를 쓰기 전에 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필요한 대로 조정하고, 지도와 칭찬을 제공한다.

- 사회 상황 이야기의 최소 50% 청자의 행동을 긍정(응원)하는 내용이어야 합니다


사회 상황 이야기에 포함되는 요소


대부분의 사회 상황 이야기는(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어린 아이들의 일상 속에서 생길 수 있는 상황이나 감정, 불만, 그리고 어려움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주기 위해 만들어진다. 아이가 특수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이야기도 있다.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이야기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며, 자폐를 가진 성인이 추상적인 개념이나 법, 혹은 미묘한 사회적 신호를 이해하도록 돕는 이야기는 더더욱 찾기 힘들다.


수년간 캐럴 그레이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다양한 형식을 실험해 보았고, 그 결과 오늘날에는 만화나 영상, 심지어는 VR 형태로 제작된 양질의 사회 상황 이야기들을 찾아볼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단순히 클립아트나 이모티콘으로 만들어진 규칙 리스트가 아니라 실제로 그레이의 규칙을 따르는 사회 상황 이야기를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레이의 사회 상황 이야기 모음집 중에서 작품을 골라 구매해도 좋고, 실제로 사회 상황 이야기 개발 훈련을 받은 사람과 함께 작업하면 제대로 이야기를 고를 있다.

 


일반적인 사회 상황 이야기의 요소


어린아이들을 위한 사회 상황 이야기는 보통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 여러 장의 글과 이미지로 이루어져 있다.

 - 페이지마다 약간의 글자가 포함되어 있다. (숫자나 언어의 복잡한 정도 등은 이야기의 대상이 되는 개인이나 그룹의 나이와 인지 능력에 따라 달라진다)

 - 제목이 있다.

 - 상황을 설명하거나 배경을 설정하는 도입 페이지가 포함되어 있다.

 - 여러 장에 걸쳐 묘사와 도움 설명, 그리고 독자를 위한 칭찬이 포함되어 있다.

 - 긍정적이고 힘을 주는 결론을 포함한다.

 - 이야기의 내용을 잘 보여주는 큼직한 사진이나 실제 같은 그림 묘사가 담겨있다. 일부 경우에는 이야기에 나오는 상황이 실제 사진으로 찍혀 실려있다.

 - 흑백이나 컬러일 수 있다. 자폐인은 주어진 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가능하다면 색깔이 있는 책이 좋다.


사회 상황 이야기의 예시

사회 상황 이야기에 사용되는 문장의 예시를 다음과 같이 참고할 수 있다.


     [제목: 쉬는 시간]

 - 나는 매일 쉬는 시간에 밖에 나가요. [학교 운동장 그림이나 실제 학교 운동장의 사진]

 - 나는 점심을 먹고 쉬는 시간에 밖에 나가요.

 -  먼저 재킷을 입어요. 그런 다음 줄을 서서 기다려요. [아이가 재킷을 입는 그림, 줄을 서는 그림]

 - 날씨가 좋으면 운동장으로 가요. [운동장에 해가 떠 있는 그림]

 - 그네를 타거나 미끄럼틀을 탈 수도, 아니면 정글짐에 올라갈 수도 있어요. [아이들이 각각의 놀이기구를 사용하는 그림]

 - 가끔은 줄에 서지 않고도 내가 제일 좋아하는 놀이기구를 탈 수 있어요. [줄이 없을 때 그네를 타는 아이의 그림]

 - 가끔은 내 차례가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해요. [운동장에서 줄을 서 기다리는 그림]

 - 친구들과 놀 수도 있고 혼자 놀 수도 있어요. [친구들과 어울려 노는 아이의 그림, 행복하게 혼자 놀고 있는 아이의 그림]

 - 종이 울리면 다시 줄을 서서 교실로 돌아가요. [아이들이 줄 서 있는 그림]

 - 쉬는 시간은 운동도 하고 재미있게 노는 시간이에요. [운동장에서 행복한 아이들의 모습]


완성된 사회 상황 이야기

사회 상황 이야기가 모두 작성되고 그림까지 추가된 후의 모습은 아래의 그림과 비슷할 수 있다.



출처: Verywell Health


사회 상황 이야기는 어떻게 사용할까

사회 상황 이야기는 개념이나 아이디어, 기술, 그리고 행동을 가르치기 위해 사용된다. 이상적인 세계라면 개개인에 맞춰 작성되고 그림까지 그려진 사회 상황 이야기가 하나씩 존재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이야기가 미리 만들어져 보통은 학교나 치료 환경에서 그룹을 대상으로 사용되고, 가끔은 가정이나 공동체에서 사용된다. 이야기책처럼 소리 내 읽을 수도 있고 책에 대해 토론을 하거나 내용을 연기해볼 수도 있고, 선생님이나 부모가 적절한 순간에 소리 내서 읽어주거나 이야기를 들려줄 수도 있다.

 

사회 상황 이야기의 일반적 사용법

- 아이나 성인이 재킷을 벗거나 점심 도시락을 정리하는 등의 간단한 과제를 완성할 있도록 가르친다.

- 사회적인 기대나 과도한 감각 활성화가 예상되는 바깥 활동이나 사회적인 행사 복잡하거나 어려운 상황에 대비할 있도록 도와준다.

- 몸짓 언어나 표정, 목소리 등을 이해하고 대응할 있도록 도와준다.

- 사회기술그룹 등의 상황에서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

- 결혼식이나 취업 면접, 데이트 다양한 특수 상황에 대비할 있도록 도와준다


사회 상황 이야기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

사회 상황 이야기는 단순하기 때문에 이를 잘못 사용하거나 잘못 작성하기 쉽다. 사회 상황 이야기는 올바르게 행동하는 아이들에 대한 묘사가 아니며, 적절히 행동하거나 업무를 완성하도록 하는 지시사항을 담고 있지도 않다. 사회 상황 이야기를 작성할 때 작성자는 아래 내용을 피해야 한다


 - 묘사 대신 거의 지시 사항으로만 이루어진 이야기

 - 2인칭을 사용하는 이야기 (: “당신은 XX 느낍니다.”)

 - 은유법, 복잡한 언어, 그리고 이해하기 힘든

 - 완전히 정확하지 않은 이야기 (“할머니는 항상 친절하세요 같은 문장은 완전한 사실은 아니다)

 - 평가나 위협을 암시하는 이야기 (“말을 들으면 방에서 벌을 받아야 해요 같은 문장)

 

사회 상황 이야기를 만드는 데 있어 또 하나의 흔한 오류는 시각 자료의 오남용이다. 사진은 최대한 사실적이고 정확하고 의미 있어야 한다. 그런데도 많은 제작자는 클립아트나 이모티콘, 그리고 그 외의 아이템으로 이야기를 망치기도 하는데, 이는 이야기를 꾸며줄지는 모르나 읽는 사람에게 아무런 의미를 전달하지 않는다


관련 연구

연구자들이 사회 상황 이야기 사용의 긍정적인 효과를 발견하기는 했으나, 사회 상황 연구가 엄격한 통제 속에 진행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자폐 아동에게 흔히 사용되는 행동 중재, 발달 치료, 혹은 약물과 같은 요소들의 개입과 사회 상황 이야기를 활용한 사례를 구별하는 것이 상당히 어렵기 때문이다.


여러 치료 방법에 대한 연구 결과를 평가하는 웹사이트 Research Autism은 사회 상황 이야기의 효과가 아직 증명되지 않았다고 생각하여 그 효능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와 뜻을 함께하는 다수의 연구는 알맞은 상황에서 알맞은 아이들을 대상으로 한다면 사진으로 스케줄을 정리하는 방법도 똑같이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한다.


Verywell이 드리는 말씀

자폐인이 성공적으로 자신의 감정과 행동, 그리고 의사소통을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데 있어 사회 상황 이야기가 흔하게 사용되는 기법은 아닐지 몰라도, 올바르게 사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닙니다. 또한 사회 상황 이야기는 위험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고, 부모가 쉽게 실시할 수 있는 몇 안되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을 시도한다고 해서 잃을 것은 없지만 얻을 수 있는 것은 많습니다


번역: 본 자료는 함께웃는재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생들이 번역작업에 참여하였습니다.
출처: 
https://www.verywellhealth.com/social-stories-for-kids-with-autism-4176139#the-origin-of-the-social-story





작성자
비밀번호
내용
이전글 자폐인의 사회적 기술 훈련이 중요한 이유
다음글 연극용 인형이 자폐를 가진 아동의 사회성 증진에 도움이 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