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연구자료

편식하는 어린이!

우지영 │ 2020-04-01

편식하는어린이.png

HIT

387

편식하는 어린이!

 

 

상당수의 자폐성 장애아동들이 다양한 음식 섭취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음식 섭취 자체를 거부하거나 아주 심하게 편식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인지적 강박, 생리학적 요인(위장장애, 감간 관련 문제, 구강-운동 지연 등), 행동적 의식, 환경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잡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폐성 장애아동이 보이는 사회적 의사소통의 문제,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행동 특성들이 음식 섭취 문제와 연합되어 식사 시간 심각한 어려움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가족의 일과를 방해하고 식사 시간 분위기를 해치고, 가족의 음식 선택을 제한시키거나 외식 기회를 제한하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자폐 스펙트럼 장애유아의 비선호 음식 섭취에 대한 선호 및 비선호 음식의 동시 제시 중재 효과(정선화, 2018)’ 라는 연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연구에는 자폐성 장애로 진단받은 만 4세의 유아 한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습니다. 이 아동은 좋아하는 음식 이외에 다른 음식을 거부하며, 좋아하는 음식도 매우 제한적이고, 2회 이상 제시하면 거부하였으며, 음식 섭취량도 매우 적었습니다. 식사 메뉴로 싫어하는 음식이 나오면 손으로 숟가락 치기, 울기, 음식 뱉기, 음식 물고 있기, 의자에서 들썩거렸습니다. 그리고 식사 시간 중에 음식을 입안에 물고 있거나 식사 중 돌아다니는 행동을 보이며, 음식 거부가 완강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음식 섭취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선호 음식과 비선호 음식이 무엇인지 어머니와 함께 음식 목록을 만들었습니다. 선호 음식과 비선호 음식 목록에 있는 음식들을 제시하고 아동의 섭취 여부를 관찰하여 기록하였습니다. 이 중에서 가족 식사에 빈번하게 제공되지만, 아동이 완강하게 거부하고, 어머니는 섭취하는 원하는 음식(, 불고기, 감자볶음, 콩나물)을 표적 음식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아동에게 식사 시간 시작에 대해 알리고 강화 메뉴판을 보여주며 음식을 섭취한 횟수에 따라 받을 수 있는 강화제에 대해 강화 메뉴판을 보여주며 설명하였습니다. 예를 들어 10회를 섭취하면 아이가 좋아하는 블록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아동의 선호 음식과 비선호 음식은 각각 4칸으로 분리된 두 개의 용기에 담아 준비되었습니다. 아동이 보는 앞에서 아동이 싫어하는 음식(, 불고기, 감자볶음, 콩나물) 한 가지와 좋아하는 음식(볶음밥, 계란말이, 소시지, 스팸) 한 가지를 아동이 가장 선호하는 김에 싸서 동시에 제시하였습니다. 아동의 입 높이에서 음식을 제시하여 음식을 먹자고 이야기를 한 후에 5초 이내에 아동의 입에 넣어주었습니다. 아동이 음식을 씹고, 남김없이 삼켰으면 칭찬을 하고 아동에게 강화 메뉴판을 보여주며 표시하였습니다. 반대로 아동이 음식을 제시하고 5초 이내에 섭취하지 않으면 한 번 더 먹자고 이야기를 하였고, 그래도 섭취하지 않으면 즉시 음식을 제거하였습니다. 음식은 총 10번에 걸쳐 제시하였고, 강화 메뉴판에서 확인한 강화제를 가지고 5분간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차츰 비선호 음식만 제공하고도 섭취하도록 권유해 나갔습니다.

 

연구 결과, 아동이 좋아하는 음식과 싫어하는 음식을 동시에 제시하여 지도하는 과정을 통하여 아동이 싫어하는 음식을 먹는 횟수가 증가하였고, 식사 시간에 이어졌던 부적절한 행동들이 현저하게 줄어들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아동이 보는 앞에서 두 개의 용기에 담겨 있는 선호 음식과 비선호 음식이 김으로 싸서 제시되었는데, 아동이 비선호 음식을 확인하였지만 김에 싼 형태로 제시되어 아동이 싫어하는 음식에 대한 거부감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식사 시간 관련 문제 행동은 아동의 영양 불균형 문제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부모들이 겪는 스트레스, 경직된 가족의 식사 분위기, 나아가 가족들의 삶의 질에도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동들의 식사 시간 관련 문제에 대한 예방 및 대처는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아동의 음식 섭취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선호하는 음식과 선호하지 않는 음식을 동시에 제시하고 체계적으로 감소해 나가는 방법 또한 긍정적으로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문헌

정선화 (2018). 자폐 스펙트럼 장애유아의 비선호 음식 섭취에 대한 선호 및 비선호 음식의동시 제시 중재 효과. 유아특수교육연구, 18(3), 319-337.





작성자
비밀번호
내용
이전글 발달장애학생의 생태학적 교육과정 개발
다음글 발달장애인 평생교육과정 살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