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우지영 │ 2021-04-30 HIT 10112 |
||||||||||||||||||||||||||||||||||||||||||||||||||||||||||||||||||||||||||||||||||||||||||
---|---|---|---|---|---|---|---|---|---|---|---|---|---|---|---|---|---|---|---|---|---|---|---|---|---|---|---|---|---|---|---|---|---|---|---|---|---|---|---|---|---|---|---|---|---|---|---|---|---|---|---|---|---|---|---|---|---|---|---|---|---|---|---|---|---|---|---|---|---|---|---|---|---|---|---|---|---|---|---|---|---|---|---|---|---|---|---|---|---|---|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발달지체 유아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다양한 중재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유아의 사회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적절한 반응을 지원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상황이야기를 들 수 있습니다. 상황이야기는 사회적인 상황을 해석하고 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짧은 이야기로, 이를 통해 어떠한 상황이고 그 상황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말하고 생각하는지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사회적 행동을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상황이야기를 실행하는 방법으로는 유아에게 상황이야기를 읽어주고 따라 읽게 하는 방법과 멀티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방법을 함께 실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태블릿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윤지혜, 김은경, 2020)’ 이라는 연구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연구는 서울 소재의 아동발달병원에서 행동 및 언어치료지원을 받는 발달지체 유아 2명이 참여했습니다. 상황이야기의 주제는 대상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과 언어적 수준에 대한 부모와의 면담과 직접 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에 근거하여 ‘인사하기’, ‘시작하기’, ‘반응하기’로 정했습니다. 총 6개의 이야기를 제작하였으며, 각 이야기에 3~5개의 설명문 혹은 조망문, 청자코칭문이 포함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각 문장에 유아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함께 제시하였고, 청자코칭문에는 유아가 해당 문장을 말하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집중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구체적인 상황이야기의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제작된 상황이야기를 가지고 주 1회, 약 10~15분 정도(상황이야기 5분, 역할놀이 5~10분) 중재자와 유아가 마주 보고 앉아서 일대일로 중재가 진행되었습니다. 유아가 직접 태블릿 PC의 상황이야기를 실행하였고, 상황이야기의 사진을 보며, 무슨 상황인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그 다음에 사진과 함께 제시된 상황이야기의 문장을 읽고, 내용을 제대로 이해했는지 상황에 대한 2~3가지의 질문을 하고, 오답일 경우 다시 상황이야기를 읽도록 하였습니다. 확인 단계에서는 유아가 직접 태블릿 PC의 『Lipa Theater』 프로그램을 열고,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와 장소, 소품들을 선택한 다음, 중재자와 상황이야기의 상황을 캐릭터에 각자의 목소리로 녹음하여 역할놀이로 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학습한 상황이야기의 내용을 유아가 이해하는지 확인하고, 강화를 제공하는 것으로 중재를 정리하였습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 상황이야기 속으로 GO
▼ 확인해봅시다~
▶ 태블릿 PC 역할놀이 앱: 『Lipa Theater』
이와 같이 상황이야기 중재에 참여한 유아의 경우, 처음엔 인사를 수동적으로 하거나 인사 중에도 상대방을 쳐다보지 않고 주위를 두리번거리는 모습을 보였으나, 이후에는 상황이야기의 뽀로로와 루피가 손을 흔드는 모습을 흉내내면서 자발적으로 인사를 하였습니다. 다른 유아의 경우에는 상황이야기 중재에 참여하기 전에는 장난감이나 놀이 활동에 빠지면 거기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어 다른 유아의 상호작용 시도를 알아채지 못하거나 무시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는데, 중재 이후에는 장난감이나 놀이보다 다른 유아에게 더 관심을 보이고 다른 유아의 행동을 모방하거나 그 행동에 크게 웃는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또, 다른 유아가 좋아하는 장난감을 먼저 건네주며 반응을 살피거나, 다른 유아가 놀이하는 모습을 보면서 먼저 질문하며 놀이를 제안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습니다. 결론적으로 태블릿 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을 증가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리고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으며,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상황과 대상에 대해서도 일반화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윤지혜, 김은경 (2020). 태블릿PC 역할놀이 앱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유아특수교육연구, 20(2), 107-135. |
이전글 | 공동관심 중심의 AAC 모델링 중재 |
---|---|
다음글 | 자기 주도적 학습 경험이 필요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