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은 일기를 쓰시나요?
관리자 │ 2023-02-08 HIT 199 |
||||||||||||||||||||||||
---|---|---|---|---|---|---|---|---|---|---|---|---|---|---|---|---|---|---|---|---|---|---|---|---|
일기는 개인이 생활 중에 경험하고, 생각하고, 감성적으로 느끼는 것들을 기록하는 행동입니다. 일기는 행적이나 마음의 상태를 기록한 생활의 거울과도 같다고 할 수 있고, 솔직한 비망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기는 자기반성의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인격적 성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또, 언어적 활용과도 관련한 일기는 글에 대한 개념과 써지는 문장에 대한 유창성을 키우는 기능을 가지기도 합니다. 이렇게 좋은 일기, 대학 생활을 하는 발달장애인들에게 매일 쓰도록 하고 어떤 점이 개선되는지 김대룡(2022)의 연구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자는 카카오톡을 활용한 일기 쓰기를 통해 발달장애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및 자아존중감이 증가 되는지 확인해보기 위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엔 발달장애 대학생 1학년 25명과 15주간 일기를 썼습니다. 이 학생들은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글의 읽기와 쓰기, 이해가 비교적 가능하며, 자신의 의사 표현이 가능한 학생들입니다. 일기쓰기 프로그램은 ‘Treffinger의 자기주도 학습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하였습니다. 카톡 일기쓰기 프로그램은 ‘준비단계 → 연습단계 → 실행단계 → 평가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단계별 내용은 아래 <표 1>을 참고하세요.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 대학생들은 15주 중 3주의 연습 기간을 거쳐 12주 동안 정해진 방법에 따라 매일 일기를 작성하였습니다. 그 결과 카톡 일기 쓰기를 통해 긍정적인 자기주도 학습태도를 형성하였습니다. 또한, 자아존중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특히, 자기긍정성 영역과 자기주장과 신뢰도 영역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습니다. 규칙적인 일기 쓰기는 발달장애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자아존중감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은 비단 대학생에게만 해당되는 것은 아닐 것입니다. 아직 청소년기의 학생과 더 나이가 많은 어른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자, 오늘부터 우리 함께 일기를 써 보는 것은 어떨까요? 참고문헌 김대룡(2022). 카톡 일기쓰기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지적장애연구, 24(4), 161-183. |
이전글 | 가상현실(VR)에서 바리스타 실습을?! |
---|---|
다음글 | 내가 하고 싶은건~ 바로 이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