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연구자료

그래픽 조직자로 읽기 이해가 쏙쏙

장민지 │ 2023-06-05

11.png

HIT

365

 그래픽 조직자는 글의 내용을 시각 및 공간적 표현력을 활용하여 내용을 조직적으로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입니다. 그래픽 조직자는 크게 다음 <1>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추정과 예상
그래픽 조직자

자신의 선행 지식을 활성화하고 배우게 될 주제에 대한 기초 제공

위치 및 패턴
그래픽 조직자

사건을 순서대로 배열하고 원인과 결과 관계 파악

묶음 및 조직
그래픽 조직자

개념 간의 구조와 관계를 명시화

비교 및 대조
그래픽 조직자

복잡한 관점이나 개념을 관련시키도록 도움

 

 

특히 그래픽 조직자는 설명글의 유형을 파악하여 글의 유형에 따른 중심내용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을 갖는 지적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남은영, 김자경, 강혜진(2022)는 그래픽 조직자의 장점을 활용하여 지적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를 하였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2명의 읽기 수준은 초등학교 2~3학년 교과서에 포함된 100음절 이내의 글을 소리 내어 읽을 수 있고, 5줄 이내의 짧은 이야기 글에서 중심 단어를 찾아 표시할 수 있습니다.

 

연구자는 연구에 참여한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2~3학년 국어 교과서와 상업용 문제집에서 300~400음절, 10문장 내외로 구성된 설명글을 발췌하여 사용하였습니다. 연구에서 사용한 그래픽 조직자는 <그림 1>과 같습니다.

 


연구는 기초선 측정 후 주 3, 40분씩, 12회기의 중재로 이루어졌고, 중재가 끝나고 일주일 뒤 기초선과 같은 환경에서 유지 검사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읽기 이해 지도를 위해 지문을 소리내어 읽기 → ②문단을 나누며 중심 단어 표시하기 → ③그래픽 조직자 작성하기 → ④작성한 그래픽 조직자 검토하기 → ⑤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여 문제해결하기의 전략 5단계로 구성하였습니다. 전략 교수를 시행할 때는 직접교수 방법을 적용하여 시범 → ②안내된 연습 → ③독립적 수행의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학생 모두 읽기 이해도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학생 A는 평소 읽기 과제를 제공하면 의미와 관계없이 글자를 또박또박 읽는 것에 집중하였는데, 중재 이후 중심 단어와 문장 찾기를 위한 읽기에 집중하였으며, 중재 후는 스스로 작성한 그래픽 조직자를 읽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흥미를 보였습니다.

학생 B는 평소 짧은 글을 선호하고 긴 글을 읽을 때는 낮은 집중력을 보였습니다. 중재를 시작한 후에는 긴 글에서 중심 단어와 중심 문장을 찾아 그래픽 조직자를 완성하는 것에 흥미를 보이며 긴 글을 읽을 때 높은 집중력을 보였습니다.

 

두 학생 모두 유지 단계에서 설명 글을 읽으며 스스로 중요 단어와 문장을 찾아 표시하고, 읽기 이해 문제를 해결하며 높은 읽기 이해 수행을 보였습니다.

 

연구 결과 서두에 말씀드린 것처럼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텍스트 구조 지도는 글을 구조화하기 어려운 지적장애 학생들에게 낱말이해와 어휘 선택 능력을 길러 줌으로써 이들의 읽기 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글의 유형에 따른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하여 글의 내용을 시각화함으로써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중심내용을 파악하는 능력을 키우기 때문에 읽기 활동 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목의 내용이해에 효과적인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문헌

남은영, 김자경, 강혜진(2022).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읽기 교수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육혁신연구, 32(2), 81-98.




작성자
비밀번호
내용
이전글 그림책은 어린이만의 것이 아니라구요!
다음글 우리 아이들의 인터넷 생활, 과연 안전하게 이루어지고 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