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연구자료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취업과 자립을 위한 중요 요인은 무엇일까요?

장민지 │ 2024-12-30

국내외연구자료_성공적인취업.png

HIT

66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취업과 자립을 위한 중요 요인은 무엇일까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를 가진 청소년들도 다른 또래들처럼 직업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살아가기를 희망합니다. 그러나 비장애인 청소년들도 사회 진출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들이 학교에서 직장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겪을 수 있는 도전과제들을 미리 파악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성공적인 취업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자립과 삶의 질, 사회 통합에 있어 핵심적인 지표가 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들의 고용률은 다른 장애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며, 취업에 성공하더라도 근로 시간과 임금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지원을 받지 못해 취업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미국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미국은 "장애인 교육법(2004)"을 통해 특수교육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취업과 고용 유지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정책 방향과도 일치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준비가 실제로 얼마나 충분한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아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 환경에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취업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효과적인 지원 전략을 수립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핵심 질문을 통해 고용 성과에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습니다.

 

1. 가족 배경, 부모 참여, 학생 요인(학업 성취, 일상 기능 기술 등), 학교 기반 전환 지원이 ASD 청소년의 고용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 학교 기반 전환 지원이 다른 독립 변인(부모 참여, 학업 성취, 일상 기능 기술 등)과 고용 성과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가?

 

이 연구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청소년들의 성공적인 취업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미국 국가 종단 전환기 연구(NLTS-2)의 데이터를 활용하였습니다. 이 데이터는 2001년부터 2009년까지 약 8년에 걸쳐 수집된 자료로,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청소년들의 전환 과정을 추적한 것입니다. 연구의 초기 표본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로 진단받은 13~16세 고등학생 920명이었으며, 최종적으로 고용 관련 데이터를 완전하게 확보할 수 있었던 570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습니다. 이러한 장기 종단 데이터를 통해 교육 환경의 특성이 실제 고용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구조 방정식 모델링(SEM)이라는 기법을 통해 고용 데이터에 나타난 요인들 간의 복합적 관계를 분석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독립 변인(가족 배경, 부모 참여 등)과 고용 성과 간의 직접적, 간접적 관계를 모두 고려하였습니다.

 

측정한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족 배경: 가구 소득, 부모 학력 수준.

2) 부모 참여: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 참여, 전환 계획 수립.

3) 학생의 학업 성취도: 표준화된 학업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평가.

4) 일상 기능 기술: 시간 읽기, 대중교통 이용, 기본적인 금전 관리 능력 등.

5) 학교에서의 이행기 지원: 직업 체험, 전환 계획 수립 지원, 직업 관련 기술 교육 등.

6) 고용 성과: 고용 여부, 근무 시간, 주급, 고용 지속 기간.

 

연구 결과, 부모님의 교육 참여(Parent Participation in Education)가 학생의 학업성취도(Academic Performance)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고용 결과(Employment Outcome)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으로 학교 기반 이행기 지원(School-based Transition Supports)가 고용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그림 1> 참고).


<그림 1> ASD 청소년의 고용 성과 예측 요인과 고용 결과의 전체 모델


 

일상생활 기능이 높은 '고기능 그룹'의 경우, 부모의 교육 참여가 학업 성취도를 높이고, 이것이 다시 고용 성과로 이어지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반면 일상생활 기능이 낮은 '저기능 그룹'에서는 부모의 교육 참여가 학교의 이행기 지원 프로그램(직업 훈련, 직업 체험 등)으로 연결되어 고용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그림 2>, <그림 3> 참고).

 

두 그룹 모두에서 부모가 자녀의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과 미래 목표 설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때 고용 성과가 향상되었습니다. 이는 기능 수준과 관계없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서는 부모의 적극적인 교육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그림 2> 저기능 그룹(일상 기능 기술이 낮은 학생의 고용 성과 예측 모델


<그림 3> 고기능 그룹(일상 기능 기술이 높은 학생)의 고용 성과 예측 모델


 

학업 능력이 직업 기술과 연결되는 경우, 고기능 그룹 학생들의 취업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습니다. 특히 읽기나 수리 능력과 같은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이 더 나은 고용 성과를 보였습니다. 반면 저기능 그룹에서는 시간 관리, 대중교통 이용, 기본적인 자기 관리와 같은 일상생활 기술이 취업 성공의 핵심 요인이었습니다.

 

이 연구는 모든 기능 수준에서 부모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부모가 자녀의 진로 계획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교사와 긴밀히 협력할 때 고용 성과가 향상되었습니다. 따라서 학교와 보호자는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다양한 기능 수준에 맞는 맞춤형 지원이 필요합니다. 고기능 그룹에는 학업과 직업 기술을 연계한 프로그램이 효과적이며, 저기능 그룹에는 일상생활 기술 훈련과 직업 체험 기회 제공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서는 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함께 기능 수준에 따른 맞춤형 교육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자폐 스펙트럼 장애 청소년들이 성인기에 더 나은 사회적, 경제적 자립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문헌

Wong, J., Coster, W.J., Cohn, E.S. et a(2021)l. Identifying School-Based Factors that Predict Employment Outcomes for Transition-Age Youth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 Autism Dev Disord, 51, 60–74.

 

 

 

 

 



작성자
비밀번호
내용
이전글 악기 연주로 키우는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아동의 초기 사회...
다음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표현에 도움을 주는 연극 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