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생성형 AI와 단어 학습
장민지 │ 2025-01-20 HIT 66 |
---|
이미지 생성형 AI와 단어 학습
최근 생성형 AI를 이용해서 다양한 교육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수교육 분야에서도 AI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글자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술을 활용하는 이미지 생성형 AI는 글자를 입력하면 그 의미에 맞는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생성할 수 있어, 시각적 학습이 효과적인 지적장애 학생들의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지적장애 학생들은 청각적인 언어 자극과 시각적인 자극이 함께 제시될 때 더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생성형 AI에 내용을 입력할 때 학습자의 지적 수준이나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개별화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연구진은 12~14세의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해 보았습니다. 5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집단에는 이미지 생성형 AI인 'DALL·E 3'를 활용한 15차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했습니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교과서 중심의 수업을 제공했습니다. 프로그램은 매 차시 40분씩, 주 3~4회 실시하였고, 약 4주간 진행되었습니다.
교육 내용은 세 영역으로 구성되었는데, 첫 번째 영역(1~5차시)에서는 교사 주도로 이미지와 관련한 생각이나 느낌을 나누었습니다. 두 번째 영역(6~10차시)에서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어휘를 찾아 학습했습니다. 마지막 영역(11~15차시)에서는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까지 상상하며 어휘를 학습했습니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집단의 어휘 평가 점수가 사전 5.62점에서 사후 12.96점으로 크게 향상된 반면, 통제집단은 5.36점에서 5.56점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습니다. 학습 태도 면에서도 실험집단이 42.95점에서 54.31점으로 큰 향상을 보였으나 통제집단은 38.75점에서 39.08점으로 미미한 변화를 보였습니다.
학생들의 어휘 평가 점수 향상과 학습 태도의 향상은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교수법이 지적장애 학생들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설명합니다.
특히 기존의 교수법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장점이 있는데요, 첫째, 개별 학생의 요구와 관심사에 맞는 맞춤형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둘째, 필요한 자료를 즉시 생성할 수 있어 수업의 유연성이 높습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AI와 상호작용하며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연구는 경도 지적장애 학생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AI 프로그램에 대한 신기성 효과가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앞으로 생성형 AI와 함께 만들어가는 우리 학생들의 교육 활동은 무엇이 있을지 더욱 기대 됩니다.
참고문헌 정영록, 이태수(2024).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언어 교수가 지적장애 학생의 어휘 습득과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게임과 교육, 24(1), 15-26. |
이전글 | 인공지능 스피커와 함께하는 말하기 공부 |
---|---|
다음글 | 발달장애인 주양육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