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국내외연구자료] 통합교육은 정말 좋은 걸까요?

장민지 │ 2025-02-12

IMG_250212_1.jpg

HIT

153

우리나라 특수교육은 법적으로 일반학교를 우선 배치하는 통합교육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한국 특수교육 역사에서 통합교육은 일반학교에 특수학급이 최초로 설치된 1971년으로 보는데요. 1990년대 이후 특수교육 정책에서 통합교육의 양과 질적 성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특수교육 통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 특수교육대상자의 약 73%는 일반학교에 26%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것으로 나타납니다. 학령기를 어느 학교에서 보냈는지에 따라 초기 성인기에 이른 발달장애인의 삶이 달라지는 점이 있을까요?

 

김유진, 박승희(2024)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연구에서 그 답을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구진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2021년 발달장애인 일과 삶 실태조사에서 18~29세 발달장애 성인 중 학령기 12년 학교교육을 모두 특수학교 또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만 보냈다고 응답한 549명의 자료를 선정하여 분석해 보았습니다.

 

대상자의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파악을 위해 김유진, 박승희가 2023년에 개발한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지수(SPecial education’s Ultimate Outcome Index, SP-UO-Index)’를 이용했습니다.

 

SP-UO-Index는 고용, 중등이후 교육,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 일상생활 공통 역량, 지역사회 생활 참여 역량, 자기결정 역량, 건강 유지, 삶의 만족도의 8가지 하위 영역과 22개 지표 지수를 바탕으로 결과를 산출합니다. 성과지수가 높을수록 개별 발달장애인에게 있어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연구진은 학령기 12년을 특수학교에서만 보낸 집단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만 교육받은 발달장애인 두 집단 간의 SP-UO-Index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습니다. 그리고 장애 정도와 문제행동의 빈도에 따라 통합 여부에 영향을 주었을 것을 고려하여 이 변수를 통제한 뒤 분석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학령기를 어디서 보냈는지에 따라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지표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하위 영역 8가지 중 고용,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 일상생활 공통 역량, 지역사회생활 참여 역량, 자기결정 역량, 건강 유지의 6가지 하위 영역에서 통합교육 환경인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12년을 교육받은 발달장애인이 특수학교에서만 교육받은 집단보다 성과지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왔습니다. 다만 중등이후교육과 삶의 만족도의 2가지 하위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학령기의 통합교육 환경은 발달장애인의 장애정도와 문제행동의 빈도를 통제한 조건에서도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종합 지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반학교 특수학급에서 학령기를 보낸 발달장애 학생들의 고용 지수,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역량 지수, 일상생활 공통 역량 지수, 지역사회생활 참여 역량 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 되었습니다. 반면, 중등이후교육 지수, 건강 유지 지수, 자기결정 역량 지수, 삶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습니다.

 

발달장애인의 장애 정도는 학령기 학교 교육의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발달장애인의 장애 정도가 중도일수록 통합 여부가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더 컸습니다. , 조절 효과는 장애 정도가 중도인 1급과 2급의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통합교육 환경에서 학령기를 보낸 발달장애인들이 고용, 자기관리 및 가정생활, 일상생활, 지역사회 참여 역량이 특수학교에서 학령기를 보낸 경우보다 더 높은 성과 지수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장애 정도가 중도일수록 통합교육의 효과도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특수교육대상자의 장애 정도가 상대적으로 경할수록 통합교육 환경인 일반학교에 배치하고, 장애정도가 중할수록 분리 교육 환경인 특수학교에 배치하는 현재 배치 체계 기준과 고정관념의 재고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참고문헌

김유진, 박승희(2024). 발달장애인의 학령기 통합교육 여부에 따른 특수교육의 궁극적 성과 비교. 특수교육학연구, 59(2), 341-371.




작성자
비밀번호
내용
이전글 특수교사가 바라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통합교육
다음글 다음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