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스-팀'의 전환능력검사로 직업 전환역량을 알아봐요.
장민지 │ 2025-02-27 HIT 128 |
---|
국립특수교육원에서 지난 2023년 NISE-TEEMH(나이스-팀)을 개발하였습니다. NISE-TEEMH은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Transition Education Competency System for Elementar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의 약어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교육대상자에게 전환능력검사를 실시하고 교과연계 전환역량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체계입니다. 학생의 학년/학교급 이동에 따른 검사자의 변화와 상관없이 연속적이고 일관성 있는 검사와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 나이스-팀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이스-팀은 전환능력검사와 교과연계 전환역량 향상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검사를 하고 나면 채점 후 결과 보고서를 제공해 줍니다. 그리고 검사 결과에 기반하여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또한, 학생용 워크북과 교사용 지도서 등의 자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이스-팀을 개발한 연구진은 전환능력검사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 전환 역량을 분석해 보았습니다. 분석 결과 직업 전환역량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일상생활 자립 전환 집단’, ‘작업활동 전환 집단’, ‘보호고용 전환 집단’, ‘지원고용 전환 집단’, ‘일반고용 전환 집단’의 5개 유형으로 도출되었습니다. 각 프로파일은 직업 전환역량에 있어 전환능력검의 지원 척도에 따라 전반적 지원, 확장적 지원, 제한적 지원, 간헐적 지원의 정도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전환능력검사에서 바로 직업 전환 역량을 확인할 수는 없는데요,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 전환역량이 어느 정도인지 추측해 볼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전환능력검사는 자립, 직업, 계속교육, 공통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영역은 2~6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이 중 연구진은 직업과 공통 영역의 평균, 전체 영역의을 분석하여 직업 전환역량의 5개 유형을 도출하였습니다. 각 유형의 영역별 평균 점수는 <표 1>과 같습니다.
연구진이 분석한 <표 1>의 결과를 바탕으로 각 직업 전환역량의 평균범위를 예측해 보자면 <표 2>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해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은 학생 A의 검사 결과 일부를 발췌한 내용입니다. 학생 A는 직업 영역의 평균이 2.5, 공통 영역의 평균이 3.8, 전체 영역의 평균이 3.1로 나타났습니다. <표 2>를 기준으로 분석해 본다면 학생 A는 보호고용 전환 역량을 가진 학생으로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전환역량검사를 바탕으로 학생의 직업 전환역량을 파악한다면 어떤 전환 목표를 계획하고 교육해야 하는가에 대해 근거 있는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표 2>의 평균 범위는 집필자가 논문을 재해석하여 작성한 표이므로 연구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검사는 온라인에서 할 수 있는데, 국립특수교육원 누리집 하단의 배너에서 접속할 수 있고,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바로 누리집으로 이동합니다. ☞ https://nise.go.kr/teemh/info/intro.do 참고문헌 배세진, 박희찬(2023).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한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의 직업 전환역량 유형 연구. 특수교육학연구, 58(1), 171-190. [국내외연구자료]는 발달장애학생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특수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 국내외 학술 잡지나 연구논문에서 발췌, 요약한 글입니다. 매월 2회 함께웃는재단 웹사이트에 2013년 8월부터 연재하고 있습니다. 더 많은 자료를 원하시는 분은 www.bde.or.kr 국내외연구자료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국내외연구자료] 통합교육은 정말 좋은 걸까요? |
---|---|
다음글 | 교재에 시각자료를 잘 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